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공부

개인 공매도 투자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경제박사개구리 2023. 5. 6.
반응형

<개인 공매도 투자 방법>

공매도란?(공매도 뜻)

무차입 공매도와 차입 공매도

공매도는 하락에 베팅하는 것, 없는 것을 판다는 개념이다.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여 현재 가격만큼 돈을 받고, 나중에 빌린 만큼 동일 수량을 상환하여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이다. 현재 가격으로 빌린 후 나중에 하락 후 동일 수량의 주식을 상환한다면 가격이 하락한 만큼의 차익이 남는다. 파생상품에서 풋 옵션 매수, 선물 매도와 같은 숏이 있으며, 선물 매도는 공매도와 구조가 같다고 보면 된다.

  • 무차입 공매도(네이키드 숏 셀링): 주식을 빌리지 않고 하는 공매도(한국은 2000년 이후 금지되었고, 미국은 특수상황에서만 허용됨)
  • 차입 공매도(커버드 숏 셀링): 주식을 빌린 후 나중에 팔고, 추후 낮은 가격에 다시 사들여서 갚는다. 이자가 발생한다.(한국에서 말하는 공매도)

대차 거래와 대추 거래

  1. 대차 거래: 증권사가 자산운용 혹은 투자자문사에 빌려 줌. 기관 간 거래이며, 자본시장법에 따른 '전문투자자'도 포함된다. 전문투자자란 50억 이상의 금융 투자 상품 잔고를 보유하고, 계좌 개설 후 1년 이상 등의 조건이 있다. 단위는 3~6개월로 연장이 가능하다.
  2. 대주 거래: 증권사가 개인에게 주식을 빌려 줌. 기관이나 전문투자자가 아닌 개인이 공매도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이자율, 대주 물량 부족 등 성행하지 않는다. 공매도를 하고 싶은 개인은 많고 노려볼만한 종목도 많지만 빌릴 수 있는 주권이 없다. 보통 상환기간은 대차거래보다 짧다.

개인 공매도 방법

1. 개인이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개인공매도 사전교육'을 이수하여 수료증을 발급받고 증권사에 제출해야 한다.(금융투자협회 학습시스템 (kifin.or.kr)

개인공매도 교육방법
개인공매도 교육방법(출처: 금융투자교육원)

  1. 회원가입
  2. 개인공매도 사전의무교육 신청(비용 3000원, 시간: 1시간)
  3. 수료증 발급

2. 두 번째로 모의거래 1시간 이수를 해야 한다.(KRX 개인 공매도 모의거래인증시스템)

공매도 모의거래 방법
공매도 모의거래 방법

  1. 회원가입
  2. 계좌번호 발급
  3. 모의거래 HTS 다운
  4. 1시간 이상 모의거래 이수
  5. 수료증 발급

정규장(09:00 ~ 15:30)을 통해 참여 혹은. Replay 장을 통한 참여(평일 정규장 이후 16:00 ~ 22:30 or 주말 및 공휴일 09:00 ~ 15:30)만 인정된다.

3. 2가지의 수료증을 발급받은 후 증명서에 있는 번호를 증권사 신청할 때 기입하여 등록한다. 공매도 신청 방법은 MTS와 HTS 모두 가능하며 메뉴에서 '대주거래'를 검색하여 진행한다.

  1. 신용공여정보확인서 변경
  2. 개인 공매도 교육이수번호 등록
  3. 모의거래이수번호 등록
  4. 약관 동의하기

증권사별로 다르지만 보통 MTS상 메뉴에 검색을 '대주거래' 혹은 '공매도'로 검색하면 교육 등록, 모의거래 등록 등의 메뉴가 나온다. 

4. 뱅킹대출 -> 신용 -> 대주매매로 들어가서 투자를 진행한다.

  1. 공매도하고 싶은 종목 검색
  2. 가격 및 수량 설정
  3. 대주(융자) 매도 선택

대주가능종목과 수량 그리고 이자율이 개별종목마다 다르다. 그러니 MTS 메뉴의 '대주가능종목'을 검색하여 각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대주가능 수량이 0으로 표시된 종목은 대주매도가 불가능하다. 

개인 공매도 투자 참고

KRX 정보데이터시스템(통계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공매도 통계를 통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KRX 공매도 통계정보
KRX 공매도 통계정보

  • 공매도 종합정보: 개별종목 공매도 종합정보
  • 공매도 거래(개별종목 공매도 거래, 개별업종 공매도 거래, 투자자별 공매도 거래, 공매도 거래 상위 50 종목)
  • 공매도 잔고(개별종목 공매도 잔고, 개별업종 공매도 잔고, 공매도 잔고 대량보유자, 공매도 잔고 상위 50 종목)
  • 공매도 과열(공매도 과열종목,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기준)
  • 대차 정보(대차거래 추이, 업종별 추이, 참여자별 대차거래 내역, 대차거래 상위 10 종목)
  • 공매도 제도(공매도 의의, 관리제도, 규제연혁, 법령체계)

2021년 이후 개인투자자에게도 공매도가 가능해졌다. 최근 에코프로 관련하여 공매도 이슈가 많은데, 많은 개인투자자 분들이 개인 공매도 방법을 참고하여 신중하고 현명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